정자 (건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자(亭子)는 높게 지어진 건축물을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휴식, 조망, 연회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주나라 시대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나라 시대에는 망루나 지방 관청 건물로, 수나라와 당나라 시대에는 정원에 포함되어 미적인 기능을 수행했다. 정자는 주변 경관을 감상하기 좋은 위치에 지어졌으며, 궁궐이나 정원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정자의 형태는 지붕, 평면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특히 지붕의 곡선과 평면 형태가 지역적 특성을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의 건축 - 누각
누각은 루와 각을 합쳐 부르는 말로, 중국 상나라에서 기원하여 춘추전국시대 고대광실을 거쳐 한나라 때 현재와 유사한 형태를 갖추었으며, 자연 경관 감상 및 연회 공간으로 궁궐, 정원, 사찰 등에 지어진 건축물이다. - 동아시아의 문화 - 한자
한자는 3,000년 이상 사용된 동아시아의 표의 문자로, 갑골문에서 기원하여 다양한 서체로 발전했으며, 한자 문화권에서 각 지역의 언어와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 동아시아의 문화 - 한문
한문은 고대 중국어 문법에 기반한 문어체로, 동아시아 각국에서 현지화되었으며, 한자의 특성상 해석이 다양할 수 있고, 외교 및 문화 교류를 통해 수용되어, 현대에는 학술 연구, 고전 문학 등에서 사용되며 동아시아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정자 (건축) | |
---|---|
지도 정보 | |
건축 개요 | |
유형 | 건물, 건축물 |
건축 양식 | 중국 건축 |
상세 정보 | |
종류 | 전통 건축 |
용도 | 휴식, 경치 감상, 만남 |
위치 | 정원, 공원, 사찰 등 |
분포 지역 | 중국, 한국,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
특징 | 다양한 형태와 크기 주변 경관과의 조화 전통적인 건축 재료 사용 (나무, 기와 등) |
역사 및 문화 | |
기원 | 고대 중국 |
문화적 의미 | 휴식과 사색의 공간 사회적 교류의 장소 권위와 지위의 상징 |
한국의 정자 | |
정의 | 경치가 좋은 곳에 지어, 풍류를 즐기며 휴식하는 건축물 |
종류 | 누정(樓亭): 다락처럼 높게 지은 정자 사정(四亭): 사방이 트인 정자 육모정(六모亭): 지붕이 육각형인 정자 |
참고 자료 | |
참고 문헌 | 한국 전통 조경학회 (2009). 한국 전통 조경사. 기문당. |
웹사이트 | 국토연구원 전자도서관 - 누정(樓亭) |
2. 어원
정자를 나타내는 한자 ‘亭’(정)은 뜻에 해당하는 ‘高’(고)와 소리에 해당하는 ‘丁’(정)이 합쳐진 글자로, 그 글자 자체는 ‘높게 지어진 건축물’을 뜻한다.[2] 《설문해자》에는 ‘사람이 편하게 머무는 곳’으로 풀이되어 있다.[3] 진나라 때 정(亭)은 행정구역을 나타내는 글자로도 쓰였는데, 행정구역으로서 정은 대개 10리마다 설치되었으며, 10개의 정이 1개의 향을 이루었다.[4] 명나라의 조원가 계성(計成)이 지은 《원야》(園冶)에는 정(亭)은 여행하다가 잠시 머물며 쉴 수 있는 곳, 사(榭)는 구조나 형태가 정해짐 없이 경관에 기대었을 때에야 완성되는 곳이라고 풀이되어 있다.
주나라(기원전 1046년~256년)부터 정자를 건설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오늘날 그 시대의 정자는 남아 있지 않다. 정자를 뜻하는 한자의 첫 사용은 춘추 시대(기원전 722년~481년)와 전국 시대(기원전 403년~221년)로 거슬러 올라간다.[1] 한나라(기원전 202년~서기 220년) 시대에는 망루와 지방 정부 건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다층 구조 건물에는 주변을 관찰할 수 있도록 벽이 없는 최소 하나의 층이 있었다.[1]
정자는 주변 경관을 잘 볼 수 있도록 집 뒷동산이나 마을에서 높은 구릉지에 지었다.[1] 모정은 초가지붕을 올린 민간의 정자로, 경관 감상을 위한 것이 아니었기에 마을 어귀에 농사 짓는 곳과 가까이 지었다.[2]
이름은 흔히 머물고 휴식을 취하는 장소로서의 목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지만(중국어 停留休息, 병음 t:ínglíuxīuxi), 최초의 정자가 군사 및 정부 목적으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은 이러한 해석에 의문을 제기한다.
3. 역사
수나라(581~618)와 당나라(618~907) 시대에는 부유한 관리와 학자들이 개인 정원에 정자를 포함시켰다. 이 기간 동안 정자의 기능은 실용적인 면에서 미학적인 면으로 바뀌었다. 정자는 앉아서 경치를 즐길 수 있는 장소를 제공했으며, 매력적인 구조물로서 경치 자체의 일부가 되었다.[1] 송나라(960~1279)의 수묵 산수화 두루마리에는 산악 지역의 학자 은둔자들의 고립된 정자가 묘사되어 있다. 이전에는 정자가 돌로 건설되었지만, 학자들의 소박한 삶에 대한 취향에 따라 대나무, 풀, 나무와 같은 다른 재료가 사용되기 시작했다.[1]
thumb 근처의 푸퉈종청 사원에 있는 황금 기와 지붕의 정자. 건륭제 통치 기간인 1767년에서 1771년 사이에 건설되었다.]]
4. 위치와 기능
정자는 산을 등지고 경관을 감상할 수 있게끔 높은 산이나 언덕, 절벽 따위에 짓거나,[3] 강이나 호수, 바다 등 물가를 면한 곳에 짓기도 했다.[4]
궁궐이나 정원 등 특별한 공간에도 정자를 지었다.[5] 궁궐에서 정자는 보통 후원(정원)에 지었다. 중국 정원(원림)에서는 누각과 정자를 모두 짓기는 하였으나 정자를 더 짓는 편이었다. 연못 주변에 정자를 배치하여 경관을 아름답게 꾸미기도 하였다. 원림에 짓는 정자는 연회와 경관 조망의 공간으로 쓰였다. 원림에 둔 정자에서 바라보는 풍경은 정자가 가진 소유물은 아니지만, 정자에서 보이는 대로 바라볼 수 있는 것은 오직 정자에서만이었다. 중국과 일본인들은 원림 안에 정자를 두었을 때 정자에서 바라보는 원림의 경관이 부족하다면 원림 바깥의 것을 차경(借景)한다고 하는 개념이 있었다. 차경은 대개 사계절의 변화에 따라 먼 곳의 풍경, 이웃한 곳의 풍경, 고개를 들고 바라보는 풍경, 고개를 구부리고 바라보는 풍경 등 모든 풍경을 빌려 감상자가 경관을 오롯이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정자는 연회나 행사를 열 뿐 아니라 학문을 강(講)하고 무엇보다 쉼을 위한 공간이었다. 전근대의 유학자들은 정자를 주변 경치를 모두 볼 수 있는 거점으로 인식하면서, 정자에서 바라볼 수 있는 경관을 석경(石景), 수경(樹景), 수경(水景) 등으로 구분하기도 하였다. 특별히, 중국에서는 정자를 지을 때에 바깥에서 정자를 바라보면 어떻게 보일지와 정자 안에서 바깥 경치를 바라보는 것을 모두 중시하였다.
5. 형태
정자의 형태는 지붕에 따라 구분된다. 정자에 쓰이는 지붕으로는 삼각지붕, 사각지붕, 육각지붕, 팔각지붕, 둥근 모임지붕, 헬멧 모양의 盔頂|회정중국어, 모임지붕의 위가 잘린 盝顶|녹정중국어 등이 있다.[5] 송나라의 책 《영조법식》에는 추녀를 쌓아 정자의 모임지붕을 만드는 방식이 기록되어 있다. 지붕 한 면의 전체에 해당하는 큰 추녀 위에 작은 추녀 세 개를 점차 가파르게 하여 쌓아 올리면 지붕면이 적당한 곡선을 이루면서 형성되며, 지붕은 멀리서 보면 피라미드나 원뿔 모양처럼 된다.
중국의 정자는 추녀가 하늘로 솟았다.[5] 지역에 따라 다르나 북방 지역의 정자는 지붕의 곡선이 적당한 반면, 남방 지역의 정자는 하늘로 치솟을 듯 매우 가파르게 한다.
thumb에 있는 원형 정자, 홍콩]]
정자는 위에서 볼 때 모양에 따라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원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정자가 일반적이며, 베이징 천단에 위치한 남해정(Nanhai Pavilion)처럼 두 개의 원형 정자가 연결된 특이한 디자인도 존재한다.
5. 1. 한국 정자의 형태
정자의 형태는 지붕에 따라 구분된다. 정자에 쓰이는 지붕으로는 삼각지붕, 사각지붕, 육각지붕, 팔각지붕, 둥근 모임지붕, 헬멧 모양의 회정(盔頂|회정중국어), 모임지붕의 위가 잘린 녹정(盝顶|녹정중국어) 등이 있다.[5] 건축 설계에 관한 송나라의 책 《영조법식》에는 추녀를 쌓아 정자의 모임지붕을 만드는 방식이 기록되어 있다. 지붕 한 면의 전체에 해당하는 큰 추녀 위에 작은 추녀 세 개를 점차 가파르게 하여 쌓아 올린다. 이렇게 하면 지붕면이 적당한 곡선을 이루면서 형성되며, 지붕은 멀리서 보면 피라미드나 원뿔 모양처럼 된다.
중국의 정자는 추녀가 하늘로 솟았다. 지역에 따라 다르나 북방 지역의 정자는 지붕의 곡선이 적당한 반면, 남방 지역의 정자는 하늘로 치솟을 듯 매우 가파르게 한다.
참조
[1]
웹인용
누정(樓亭)
https://library.krih[...]
국토연구원
2012-07-16
[2]
뉴스
"[한자 뿌리읽기]<109>지체(遲滯)와 정체(停滯)"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4-09-30
[3]
서적
說文解字
[4]
서적
漢書
[5]
뉴스
다양한 한국의 지붕
http://dongascience.[...]
동아사이언스
2012-09-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